Ⅰ. 머리말
Ⅱ. 철기시대의 개념
Ⅲ. 유구 및 유물의 연구성과
Ⅳ. 문화상의 연구성과
Ⅴ. 앞으로의 연구과제
요약
철기시대는 한국고고학에서 통상 초기철기시대와 원삼국시대로 구분되고 있으나 원삼국시대에 대한 고대사학자들의 비판이 있자 일부에서는 삼한시대 혹은 철기시대로 부르고 있다. 필자는 새로운 시대구분의 필요성을 인정하지만 그 이전에는 철기시대로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호남지역의 철기시대 주거지는 청동기시대 주거지를 계승하였으나 평면형태나 내부구조(화덕, 벽구 등)에서 약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토광묘는 주변에 주구를 가진 점이 특징인데 처음에는 방형에서 타원형이나 제형(사다리꼴)으로 변화된다. 옹관묘는 두 개의 옹관을 연접한 합구식으로 3세기말 영산강유역에서는 대형 옹관으로 발전되었다. 패총에서는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는데 어로, 수렵 및 농경과 관련된 도구들이 있다. 철기시대는 크게 4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초기(기원전 2세기경), 전기(기원전 2세기말-1세기초에서 기원후 1세기 초), 중기(기원후 1세기 중엽에서 2세기 중엽), 후기(기원후 2세기 후반에서 3세기 후반) 등이다.
철기시대에는 중국에서 서해와 남해로 이어지는 묘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철기시대의 사회는 청동기시대 이래로 점차 계층화가 이루어진 복합사회로 발전해 나갔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기시대에 해당하는 유구와 유물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철기문화의 발전과정과 고분의 발생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 시대의 문화·사회적인 성격을 연구하여야 한다. 넷째, 역사적인 배경인 三韓(馬韓)이나 三國(百濟)과의 관계를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문헌사학자와의 공동연구도 필요하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