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언
2. 무덤과 제사유적을 통해본 1~4세기 한반도 서남해안 교역루트
1) 1~4세기 한반도 서남해안 교역루트와 관련된 무덤과 제사유적
2) 한반도 서남해안 교역루트 활성화와 변한의 역할
3. 5~6세기 백제와 왜국사이의 교역체계 강화와 그 배경
1)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잇는 교역체계의 변동과정
-1~4세기 교역체계에서 5~6세기 교역체계로의 이행
2) 5~6세기 백제 묘제에 보이는 왜국의 영향
3) 죽막동제사유적과 백제 서남부지역 전방후원분의 출현과 그 의미
4) 5~6세기 한반도 남해안 교역루트 활성화와 왜국
4. 결어
요약
5~6세기경 백제와 왜국사이 교역체계가 강화된 것은 5세기경 고구려에 의한 금관가야․백제 공격으로 파급된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군사적 변동이 계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백제와 왜국은 상호 필요성에 의해 각각 친왜국 외교정책, 친백제 외교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왜국이 친백제 외교정책을 새롭게 추진하게 된 것은, 5세기초경 고구려의 공격에 의한 금관가야의 쇠퇴로 인하여 금관가야를 축으로 형성되었던 기존의 안정적 광역교역체계를 대체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했기 때문이다. 왜국이 모색한 교역체계 재편의 방향을 가야지역 등과의 기존 교역체계를 유지하며 백제와의 교역체계를 새롭게 강화하는 다원화된 교역체계였던 것으로 보인다. 왜국의 경우, 이러한 교역체계 재편은 백제라는 중국남조의 선진문물과 지식을 받아들이는 중계지를 확보하는 계기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시기 왜국 중앙의 수장묘들에 백제양식 횡혈식석실의 영향을 받은 기내형 횡혈식석실이 새롭게 채택되고 확신되는 양상은 이러한 교역체계 재편이 가져온 결과로 판단된다.
백제가 친왜국 외교정책을 새롭게 추진하게 된 배경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백제는 왜국과 달리 5세기후엽 고구려의 공격으로 인하여 서울에서 공주로 천도하게 되는 직접적인 위기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위기상황에서 백제가 선택한 외교전략은 중국남조․가야․왜국과의 친연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외교정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이 되면, 왜국과의 친연관계를 더욱 강화한 교역체계 재편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백제 서남부지역 일부 지방수장묘에 채택된 왜양식 전방후원분의 출현, 왜인들에 의한 제사 참여가 허용된 죽막동해안제사유적의 출현등은 이 시기 백제 교역체계 재편이 가져온 결과로 추정된다.
백제와 왜국이 각각 모색한 교역체계 재편과정에서, 양국이 공통적으로 중시하였던 외교전략은 가야와의 친연관계를 유지하는 외교정책이었다. 이는 양국사이를 잇는 해상교역루트상에 위치하는 가야의 지리적 이점을 중시였기 때문일 것이다. 5~6세기경 백제와 가야영역의 남해안에서는 백제․가야․왜국을 잇는 활발한 해상교역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필자 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