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왕릉을 중심으로 고분의 변천을 개관하고, 고분을 통해 백제와 일본의 관계에 대해 서술하였다. 한성기 백제의 왕릉은 석촌동고분군으로 파악하였고, 최근 논쟁이 있는 가락동·방이동고분에 대해서는 한성기 백제의 고분으로 인정하더라도 왕릉으로 포함될지는 별도의 문제가 있다고 파악하였다.
웅진기 백제의 왕릉은 주변의 고분들과의 규모, 목관 등의 검토를 통해 송산리고분군으로 파악하였고, 무령왕릉을 중심으로 장송의례에 대해 검토하였다. 사비기 백제의 왕릉은 무령왕릉의 전실구조를 원형으로 하고, 새로운 석실구조가 성립되어가는 것을 보여주는 능산리 고분군으로 파악하였다. 이 시기 백제 왕릉은 부부합장에서 단독 부장으로 변했으며, 석실의 크기도 작아지고, 부장품이 사라지는 박장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끝으로 백제의 고분은 일본열도에 크게 2번에 걸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파악하였다. 첫 번째는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전엽으로, 백제 고분의 영향으로 킨키지역에 횡혈식 석실이 만들어지게 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두 번째는 7세기에 종말기 고분시대라 불리는 시기로, 능산리고분군에 보이는 횡구식 석실의 영향으로 일본 열도에서도 횡구식 석실이 만들어진 것으로 파악하였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