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はじめに (머리말)
2. 日本, 韓國, 中國の象嵌大刀の硏究
(일본, 한국, 중국의 상감대도의 연구)
3. 日本, 韓國, 中國の象嵌銘文大刀
(일본, 한국, 중국의 상감명문대도)
4. 象嵌銘文大刀の象嵌技法と元素分析
(상감명문대도의 상감기법과 원소분석)
5. 小海町, 畠山家傳來の三燕寅釼
(소해정, 전산가 전래의 삼연인일)
6. おわりに (맺음말)
요약
일본의 象嵌銘文大刀(상감명문대도)의 성격을 밝히기 위해 중국과 한국의 상감명문대도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중국에서 출토되는 상감명문대도와 비교한 결과 護身(호신), 辟災(벽제), 招福(초복)을 기원하는 명문의 기본적인 형태는 중국 후한에 제작된 銘文의 대도에도 보이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한반도 삼국에서 출토되는 상감명문대도와도 비교를 하였다. 특히, 백제에서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는 『塵袋(진대)』와 七支刀(칠지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진대』은 칠지도보다 선행하는 것으로 보면서 이러한 명문대도의 시대적, 지역적인 변화, 변천이 확인된다고 파악하였다.
한편, 일본열도에서 출토되는 명문대도의 성격은 각 지역의 관료층 인물이었다고 파악하였다. 나아가 그 지위와 직장은 왕권에게 받아 죽음과 함께 고분에 부장되어, 1대에 한한 명문대도라고 판단하였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