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기 후반부터 4세기에는 西新町(서신정) 유적에서 가야계 토기와 함께 전라도지역과 관련이 있는 백제계 토기가 자주 보이는데, 이것은 가야의 철을 둘러싼 교역이 활발했음을 말해준다. 이곳에는 가야계와 백제계의 도래인이 존재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집단적으로 모여 있던 것이 아니라 재래의 사람들과 혼재되어 있던 것으로 보인다.
4세기말부터 5세기전반에는 백제계 토기는 거의 출토되지 않고, 가야계 토기가 압도적으로 많아진다. 5세기 중엽에서 후반에는 鳥足文土器(조족문토기)를 비롯한 백제계 토기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전라도지역 외에 한성과 웅진 등의 백제 도읍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과의 교섭이 활발해졌음을 의미한다. 요컨대 5세기 중엽 이후 나타나는 수혜기는 백제 토기의 영향이 매우 강하게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