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백제 사비기 1탑 1금당식 사찰의 조영과 전개

  • 분류 고고·미술 > 건축
  • 권호수 제36호
  • 저자 문옥현
  • 발행일 2011년 8월
  • 게재지 한국학논총
  • 발행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목차

Ⅰ. 머리말
Ⅱ. 1탑1금당식 사찰 현황
Ⅲ. 1탑1금당식 사찰의 조영 양상
Ⅳ. 사비기 1탑1금당식 사찰의 전개 과정
Ⅴ. 맺음말

요약

본고는 백제 사비기 1탑1금당식 사찰의 조영 양상과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탑1금당식 사찰은 유적의 입지, 출토 유물, 문헌기록을 통해 볼 때 백제 사비기 사찰의 전형으로 판단되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가람배치와 목탑 심초부조성방식의 변화가 간취된다.
1탑1금당식 사찰의 가람배치는 평평한 대지의 중심축선상에 탑, 금당, 강당을 차례로 배치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여 그 양옆으로 동·서 회랑 및 동·서 건물, 동·서부속건물, 북회랑이 배치되는 특징을 가진다. 사비천도 전후에 동·서 회랑 북편에 동·서건물, 강당 양옆에 동·서부속건물이 배치되다가 7세기 경 동·서부속건물이 북회랑으로 대체되며 7세기 전반에는 미륵사와 같이 탑과 금당을 배치하는 공간을 여러 개 두는 형태로 변화한다.
목탑의 심초석은 지하에서 지상으로 그 설치 위치가 변화하면서 심주입주 및 사리매납에도 변화가 생기는데, 지하식 심초석이 채용된 6세기 중엽경에는 사리감등 별도의 사리장치를 심초석 상면에 심주와 나란히 배치하는 형태이며, 6세기 후엽에는 반지하식 또는 지상식 심초석이 채용되면서 심초석과 유사한 별도의 사리 장치석을 지하에 따로 매납하고 남단에 사리공을 마련하는 과도기적 양상이 나타난다. 또한 별도의 심초석 없이 사리매납과 심주입주가 지하에서 이루어지는 양상도 확인된다. 7세기 이후에는 지상에 시설된 심초석 중앙에 사리공을 마련하는 형태로 정형화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분묘 공주 수촌리 백제고분의 고찰-매장시설의 구조와 중요 유물을 중심으로-
    • 발행처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저자강인구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학논총 제30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칠지도의 상징
    • 발행처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저자이내옥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학논총 제34집 
    자료카드

'문옥현'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건축 백제 사비기 기와 생산시설과 생산체제(百濟 泗沘期 기와 生産施設과 生産體制)
    • 발행처한국문화사학회 
    • 저자문옥현 
    • 발간년도 
    • 게제지문화사학 제38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왕흥사의 기와 공급에 대한 일고찰 -출토 수막새를 중심으로-
    • 발행처효성여대 한국전통문화연구소 
    • 저자문옥현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전통문화연구 제9호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