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익산 황등제에 대한 역사적 고찰

  • 분류 고고·미술 > 건축
  • 권호수 제6권
  • 저자 박노석
  • 발행일 2011년
  • 게재지 건지인문학
  • 발행처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황등제 주변 환경과 축조연대
3. 황등제의 변화
4. 맺는 말

요약

황등제는 한때 김제의 벽골제, 정읍의 눌제와 더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큰 호수로 불리웠으나 지금은 기억에서 사라져가고 있다. 지금은 제방이 익산에서 황등 함열을 거쳐 강경으로 이어지는 도로로 활용되고 있으며, 제방 안쪽은 물은 다 빠지고 두 개의 물줄기만이 흐르고 있고, 나머지는 모두 논으로 바뀌었다.
제방은 백제에서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조선시대 익산군, 함열현, 임피현, 전주부 옥야현의 4개 군현의 인접지에 있었으며, 지금의 익산시 황등면, 삼기면, 금마면, 익산시 북부 지역에 위치하며, 제방의 길이는 1,300m이고, 유역면적은 991.7ha정도였다.
황등제는 고려말에 이미 기능을 상실하고, 조선시대에는 활용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세종대에는 상시제와 하시제로 나뉘어 불리웠으며, 임진왜란이 끝나고 광해군대에는 황등제에 물을 끌어들이기 위해서 그 이전부터 존재하던 삼례의 비비정 아래에서 황등제까지 약 40리의 물길을 관리하였다고 한다. 이로 보아 조선 전기에도 전 기간에 걸쳐 제방의 기능을 충실히 했는가는 알 수 없으나 관리에 노력을 기울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노력은 광해군대 이후 현종, 숙종, 영조대까지도 계속되었다. 정조대에도 제방을 수축하여 주변지역에 관개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872년경에도 많은 물을 가두어 두었던 호수로서의 기능을 충실히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일본 강점기에 들어와서 1914년경에는 둘레가 약 40km정도 되는 요교제(황등제)가 있었고, 1923년에는 황등제의 제방을 증축하는 공사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1935년 대아저수지가 완공되면서 이 물을 끌어 들이면서 제방의 물을 빼내고 경작지로 조성하면서 황등제는 제 기능을 상실하였다. (필자 맺는 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에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

'박노석'님께서 발행한 자료

  • 박노석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