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백제 적석총의 분포와 성격에 대한 일고(百濟 積石塚의 分布와 性格에 대한 一考)

  • 분류 고고·미술 > 분묘
  • 권호수 제75호
  • 저자 유태용, 박영재
  • 발행일 2006년 8월
  • 게재지 백산학보
  • 발행처 백산학회

목차

Ⅰ. 序論
Ⅱ. 百濟 積石塚의 分包 現況
Ⅲ. 百濟 積石塚의 形式과 編年
Ⅳ. 結論

요약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에서 축조된 백제 초기 대표적 묘제인 적석총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 적석총은 임진강이나 북한강보다는 水系가 긴 남한강 유역에서 많은 적석총이 축조되었다. 반면에 서울 남쪽 지역에서는 용인 마평동과 양평 대석리에서 각각 1기씩 조사되었을 뿐 거의 공백지대로 남아있다. 이는 한강 중류이남 지역이 적석총 문화와는 별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둘째, 적석총의 평면형태를 보면, 지리적으로 장타원형과 타원형 등 원형계는 임진강 상류와 남한강 상류에 집중 분포하고 있으며, 장방형은 북한강 상-중류와 남한강 상-중류의 교차 지점에서 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方形系 적석총은 한강 중류의 서울 석촌동과 서울에 인접한 주변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셋째, 적석총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적석총의 積石 형태와 積石 材料 사이에 일정한 관련성이 엿보이고 있다. 넷째, 적석총의 축조구조와 형식은 대략 3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는 적석총의 造成에서 안쪽에 점토가 충전되고, 외면에 積石된 內土外石形이 있고, 둘째는 안쪽에 自然砂丘를 이용하고, 외면에 積石한 內砂外石形이 있으며, 셋째는 內外面 모두에 割石이나 강돌로 채운 內外積石形이 있다. 다섯째, 적석총은 基壇의 존재와 형식에 따라 無基壇式, 基壇式, 그리고 基壇階段式으로 구분되며, 내부구조에 따라 단곽식, 양곽식, 그리고 다곽식의 墓槨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백제 적석총은 김성태의 연구에 의하면, 무기단식은 주로 다곽식 묘곽을 띠고 있으며, 기단식은 양곽식 묘곽과 연결되고, 기단계단식은 단곽식의 묘곽으로 구성된다. 여섯째, 적석총의 築造時期는 共伴遺物과 築造形式에 따라 3단계로 편년된다. 1단계는 무기단식으로 강돌로만 積石되는 경향이 있고, 승석문이나 격자문이 타날된 회백색 연질토기 外反口緣 短頸壺, 낙랑계토기 등이 있고, 西紀 前後~西紀 2C 초반까지 編年된다. 2단계는 기단식으로 강돌 또는 강돌에 割石이 混用되며, 繩蓆文이나 類似繩蓆文 短頸壺 그리고 복銅馬鐸과 복銅耳飾 등이 출토되었고, 2C 후반~3C 후반까지 편년된다. 3단계는 方壇階段式으로 강돌보다는 割石이 사용되며, 直口短頸壺․直口廣口壺․灰靑色 硬質外反의 深鉢形土器․無蓋高杯 등의 토기류와 함께 鐵劍片이 출토되기도 한다. 3C 후반~5C 후반까지 編年된다. 마지막으로 양평 신원리에서 발굴된 적석총은 內土外石形의 割石으로 축조된 基壇式 方形 積石塚이며, 積石 사이에서 경질무문토기편, 적갈색과 회갈색의 연질토기편, 흑갈색 마연토기편 등과 함께 鐵라이 출토되었고, 동북부에서 敷石施設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신원리 적석총은 춘천 중도 東墳이나 양평 문호리 적석총보다는 축조시기가 늦으며, 서울 석촌동 1호~4호 적석총보다는 다소 빠를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건축 한국수혈주거지 소고 : 구조를 중심으로(韓國竪穴住居址 小考 : 構造를 中心으로)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임영진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29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발굴조사자료로 본 고대 성곽의 연못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민덕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63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고대 동북아 요로기술의 대외교섭 : 백제 정암리요적을 중심으로(古代 東北亞 窯爐技術의 對外交涉 : 百濟 亭岩里窯蹟을 중심으로)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조원창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71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풍납토성 백제 우물지에 관한 연구 시론(風納土城 百濟 우물지에 관한 硏究 試論)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김도훈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8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미륵사지석탑과 분황사모전석탑의 비교 고찰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박경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98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건축 삼국시대 토축 구조물의 부엽법(敷葉法) 연구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신희권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98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분묘 영산강유역 초기석실분과 북부 큐슈지역의 석실분(榮山江流域 初期石室墳과 北部九州地域의 石室墳)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정계옥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8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분묘 성남 야탑동 적석총의 재검토(城南 野塔洞 積石塚의 再檢討)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유태용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90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분묘 신라토기출토 백제 석실묘의 검토(新羅土器出土 百濟 石室墓의 檢討)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이남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97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관방 삼국시대 축성법에 관한 몇가지 시고(三國時代 築城法에 관한 몇가지 試考)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민덕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38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관방 고구려 · 백제성곽의 비교연구(高句麗 · 百濟城郭의 比較硏究)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공석구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5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관방 백제 한성기 산성의 현황과 특징(百濟 漢城期 山城의 現況과 特徵)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백종오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69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관방 모락산성을 통해 본 백제시대의 의왕(慕洛山城을 통해 본 百濟時代의 儀旺)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김영관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73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관방 위례성(慰禮城)과 한산(漢山)에 대하여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서정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95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고양 멱절산유적 출토 백제토기의 문양연구(高陽 覓節山遺蹟 出土 百濟土器의 紋樣硏究)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권순진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77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웅진~사비기 와당으로 본 고구려 제와술의 백제 전파(熊津~泗沘期 瓦當으로 본 高句麗 製瓦術의 百濟 傳播)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조원창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81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 백강(白江)의 위치
    • 발행처백산학회 
    • 저자서정석 
    • 발간년도 
    • 게제지백산학보 제69호 
    자료카드

'유태용, 박영재'님께서 발행한 자료

  • 유태용, 박영재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