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고분출토 관모류에 대한 이론(古墳出土 冠帽類에 對한 異論)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20호
  • 저자 윤세영
  • 발행일 1987년 1월
  • 게재지 민족문화연구
  • 발행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목차

Ⅰ. 序
Ⅱ. 高句麗의 冠·冠飾類
Ⅲ. 百濟의 冠·冠飾類
Ⅳ. 新羅의 冠·冠飾類
Ⅴ. 加倻의 冠·冠飾類
Ⅵ. 結語

요약

삼국사기나 중국고대사서에도 금속제관을 썼다는 기록은 없고 다만 금은가식이라 하여 금속제관식을 하였음을 알 수 있고 고분 벽화에서도 금속제관을 쓴 것은 보이지 않는다.
고구려의 초화문금동관, 화염문금동관은 거의 같은 지역과 시기에 제작되었음에도 구조형태가 판이하고 금동용봉문관식구는 머리에 얹을 수 없고 집안고구려석실분 출토 금동관식은 조잡하여 최고 통치자의 관식이라 볼 수 없다.
백제의 나주반남면신촌리제9호분 을관 출토 금동관도 머리에 쓰고 의식을 거행하기는 매우 어렵게 제작되었으며 무령왕릉의 금관식도 왕과 왕비의 관식이 2개씩 출토되었으나 크기나 형태가 같지 않다.
신라의 금동관으로서 호암미술관의 금동관은 녹각형입식은 없고 연속산자형입식 3개만 서 있는 것이다.
가야의 의성탑리고분 제1묘곽 출토의 금동관은 입식의 좌우측을 썰어서 몇 번씩 비틀어 놓았고 대구 비산동 제 7호분 제1석곽에서는 2개의 금동관이 출토되었으나 형태가 다르고 동래 복천동 제1호분금동관은 3단의 연속산자형입식이 5개가 서 있고 동 제11호분에서는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특이한 금동관이 출토되어다.
이상과 같이 금관 금동관이 최고통치자가 착용한 관이라면 일정한 제도, 전통성이 있어야함에도 형태, 구조, 크기, 재료가 다를 뿐 아니라 경산 임당동고분의 금동관 주인공의 치아가 5세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고분출토 금관, 금동관, 모, 관식은 반드시 최고통치자 또는 그 주변인의 일상용 의식용관이라고 하기보다는 타계한 사자의 영혼을 위로하는 주술적 목적의 부장품으로 급조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본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에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

'윤세영'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한국고대관모고 : 삼국시대 관모를 중심으로(韓國古代冠帽考 : 三國時大冠帽를 中心으로)
    • 발행처한국고고학회 
    • 저자윤세영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고고학보 제9집 
  • 고고·미술 > 유물 장신구(裝身具)
    • 발행처국사편찬위원회 
    • 저자윤세영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사론 제15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무령왕릉출토 관식에 관하여 : 단선설에 대한 반론(武寧王陵出土 冠飾에 關하여 : 團扇說에 對한 反論)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윤세영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21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의 금속공예-장신구를 중심으로(百濟의 金屬工藝-裝身具를 中心으로)
    • 발행처인쇄 
    • 저자윤세영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조각공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