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고대 한일의 용봉문환두대도 고찰(古代 韓日의 龍鳳紋環頭大刀 고찰)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20호
  • 저자 홍성화
  • 발행일 2012년 12월
  • 게재지 동양예술
  • 발행처 한국동양예술학회

목차

Ⅰ. 머리말
Ⅱ. 한반도의 龍鳳紋環頭大刀
Ⅲ. 日本 列島의 龍鳳紋環頭大刀
Ⅳ. 龍鳳紋環頭大刀의 의미
Ⅴ. 맺음말

요약

본고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 간에 나타나는 龍鳳紋環頭大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대 한일관계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龍鳳紋環頭大刀는 일본의 경우 그 양에 있어서 한반도보다 압도적으로 많이 출토되고 있다.
일본에서 나타나는 龍鳳紋環頭大刀는 백제 무령왕 출토 龍鳳紋環頭大刀를 모태로 하여 6세기 중 후반에 걸쳐 성행하고 있는데, 초기 單龍環頭大刀의 분포가 北九州, 세토 내해, 畿內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야마토 정권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백제로부터 전파된 경로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전파는 七支刀가 408년 일본에 하사된 정황으로 미루어볼 때 백제로부터 賜與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일본에 전해진 龍鳳紋環頭大刀는 6세기 후반에 들어서 일본 열도 자체 제작 체계를 확립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龍鳳紋環頭大刀와 관련한 일본의 변화는 그 원인이 6세기 후반 당시 日本 列島의 재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그동안 세토 내해를 중심으로 하고 있던 야마토 정권이 6세기 후반 이후에 각 지방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을 나타내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龍鳳紋環頭大刀를 살펴보면 이른 시기 한반도의 서남부에서 나타났던 龍鳳紋環頭大刀가 5세기 말-6세기 초에 가야와 신라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황을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형태적인 유사성이나 공통된 제작기법 등으로 보아 이는 백제로부터의 영향이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이처럼 龍鳳紋環頭大刀는 백제로부터 가야와 신라뿐만 아니라 일본 열도에 전해져 5-6세기 동아시아 각국의 역학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특히 龍鳳紋環頭大刀를 분석하면, 기존 일본학계가 고대 한반도 남부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이 야마토 정권이라는 통설과 달리, 한반도 남부는 백제의 영향권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자 요약)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백제수막새 연화문와당의 시기별 특징을 통한 조형미감연구(百濟수막새 蓮花紋瓦當의 시기별 특징을 통한 造形美感연구)
    • 발행처한국동양예술학회 
    • 저자윤태석 
    • 발간년도 
    • 게제지동양예술 제11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고대 한반도계 대도 명문에 대한 재조명(古代 韓半島系 大刀 銘文에 대한 재조명)
    • 발행처한국동양예술학회 
    • 저자홍성화 
    • 발간년도 
    • 게제지동양예술 제21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에 나타난 무용문화적 감수성
    • 발행처한국동양예술학회 
    • 저자이병옥 
    • 발간년도 
    • 게제지동양예술 제11호 
    자료카드

'홍성화'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분묘 고대 영산강 유역 세력에 대한 검토(古代 榮山江 流域 勢力에 대한 검토)
    • 발행처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저자홍성화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연구 제51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고대 한반도계 대도 명문에 대한 재조명(古代 韓半島系 大刀 銘文에 대한 재조명)
    • 발행처한국동양예술학회 
    • 저자홍성화 
    • 발간년도 
    • 게제지동양예술 제21호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