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백제 ‘은화관식'의 형상과 정치적 성격 검증

  • 분류 고고·미술 > 유물
  • 권호수 제35집
  • 저자 오은석
  • 발행일 2014년 9월
  • 게재지 동아시아고대학
  • 발행처 동아시아고대학회

목차

Ⅰ.머리말
Ⅱ.‘은화관식’의 현황
Ⅲ.‘은화관식’에 대한 의문점
Ⅳ.‘은화관식’의 형상과 내재된 성격
Ⅴ.결론

요약

‘銀花冠飾’은 흔히 백제에서 率系 관료의 관모에 착장하는 장신구이자 일종의 정치적 표지인 銀花로 일컬어지 고 있다. 그런데 ‘은화관식’으로 지칭되는 대상물이 백제 당시의 銀花인지는 확언할 수는 없다. 이는 유물인 ‘은 화관식’을 기록의 銀花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증거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은화관식’이 기록의 銀 花에, 형상과 정치적 성격이 부합하는지 검증해보았다. 이 검증에는 3가지 의문점으로 이루어졌다. 첫째는 기록의 金花로 지칭하는 무령왕의 금제관식과 기록의 銀花 로 지칭하는 ‘은화관식’은 그 출현시기와 형식학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다는 점이다. 둘째, 기록을 통해 보았을 때 비교적 많은 관료가 銀花를 착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은화관식’은 1938년 첫 발견 이후 70여년 넘게 불 과 13점만 발견된 현상이다. 셋째는 ‘은화관식’이 관등을 드러내는 표지이며 정치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면 미륵사지 석탑 심초석 사리공에서 발견된 ‘은화관식’과 같이, 공양품으로 처분이 가능했을까하는 점이다. 이 3가지 의문을 중심으로 ‘은화관식’의 형상과 내재된 성격을 재검토해본 결과, ‘은화관식’은 꽃의 형상이 아 닌 나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외형상 ‘은화관식’은 기록의 銀花로 볼 수 없었다. 그리고 ‘은화관식’은 정치적 성격이 내재되어 있기 보다는 무덤 부장품의 성격이 짙고 私的으로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7세기 에 들어서는 私的인 기원의 상징물로도 부장되었다. 검증 결과 ‘은화관식’은 형상으로나 내재된 성격으로나 기록의 銀花로 볼 수 없었다. 銀花는 아직까지 발견되 지 않았으며 ‘은화관식’은 그 소재와 형태적 특징에 부합하는 명칭인 銀製 樹形 冠飾으로 부르고자 제안한다. (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건축 백제양식석탑의 분포와 주변지역 석탑양식 비교연구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전지혜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9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분묘 마한 잔여고지 전방후원분의 조성 배경(馬韓 殘餘故地 前方後圓墳의 造成 背景)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8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益山 遷都 物證 ‘首府' 銘瓦에 대한 反論 檢證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35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 웅진도성 연구에 관한 검토(百濟 熊津都城 硏究에 관한 檢討)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3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곡나철산과 백제(谷那鐵山과 百濟)
    • 발행처동아시아고대학회 
    • 저자이도학 
    • 발간년도 
    • 게제지동아시아고대학 제25집 
    자료카드

'오은석'님께서 발행한 자료

  • 오은석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