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백제시대 전투복 연구

  • 분류 고고·미술 > 기타
  • 권호수 2009
  • 저자 라선정, 김병미
  • 발행일 
  • 게재지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 발행처 한국의상디자인학회

목차


Ⅰ. 서론
Ⅱ. 백제시대의 융복
Ⅲ. 백제시대의 갑주
Ⅳ. 결론

요약

고대 전투복은 외부세력과의 전쟁에 착용하던 복식으로 크게 戎服과 甲冑로 구분할 수 있다. 융복은 군인이 군영 내에서 일상생활 중 착용하는 便服으로 몸놀림을 민첩하게 할 수 있는 기능성과 활동성을 갖춘 옷을 말하고, 갑주는 전쟁 시에 방어용 무기로서 특수목적을 위해 착용하였던 복식이다.
백제의 융복은 금동대향로 기마인의 복장에서 볼 수 있는데, 상의인 저고리는 소매가 넓은 광수로 엉덩이를 덮는 길이이며 바지는 기마에 편리한 통이 좁은 細袴이다. 소매의 수구가 바지통보다 넓게 묘사된 것을 보면 소매가 매우 넓었음을 알 수 있고, 바지통이 좁은 것은 말타기에 편리한 복장으로 볼 수 있다. 머리에는 투구를 쓰고 있어 이 기마인의 복장이 갑옷의 안에 입는 융복 차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기마인의 저고리는 고구려 벽화나 신라 토우의 기마인 상에서는 볼 수 없는 소매가 넓은 형태의 저고리를 착용하고 있어 삼국 중에서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적의 공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전투력을 향상시키는 무기인 갑주는 갑옷과 투구가 있다. 갑옷은 만드는 방법에 따라 찰갑(비늘갑옷)과 판갑(판갑옷)으로 나누어진다. 백제의 갑옷은 고조선의 갑옷생산기술과 양식을 계승하여 발전시킨 것으로 고조선 갑편의 특징인 장방형을 위주로 한 魚鱗갑옷이었다. 갑주의 출토 지역과 재료 면에서 보면 4세기 이전의 백제 초기에는 뼈로 만든 갑옷을 입었음, 5세기 중엽에는 철로 만든 갑옷을 입었음을 알 수 있다.
비늘갑옷은 마치 물고기의 비늘과 같이 작고 수많은 철판을 끈으로 연결하여 만든 것으로, 백제 초기의 유적으로 알려진 몽촌토성에서 장방형의 뼈로 만든 찰갑편이 다량 출토되었다. 판갑옷은 큰 철판으로 만들어져 활동하기가 불편했지만, 비늘갑옷은 판갑옷에 비하여 활동하기가 편해 주로 말을 타는 군인들이 입었던 것으로 보아 높은 신분은 비늘 갑옷을 입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판갑옷은 몸에 맞도록 몇 개의 철판을 세모 또는 네모 모양으로 오린 뒤 이것을 쇠못 또는 가죽끈으로 연결하여 만든 것으로 등판은 어깨까지 올라오도록 높게 하고 앞판은 가슴을 낮게 하여 여미도록 만든 短甲으로 주로 보병이 착용하였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기타 백제금동대향로에서 본 주악상 복식(百濟金銅大香爐에서 본 奏樂像 服飾)
    • 발행처한국의상디자인학회 
    • 저자라선정 김병미 
    • 발간년도 
    • 게제지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2009-12 
    자료카드

'라선정, 김병미'님께서 발행한 자료

  • 라선정, 김병미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