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백제 귀갑문 고찰(百濟 龜甲文 考察)

  • 분류 고고·미술 > 기타
  • 권호수 제18호
  • 저자 이귀영
  • 발행일 2010년 4월
  • 게재지 신라사학보
  • 발행처 신라사학회

목차

Ⅰ. 머리말
Ⅱ. 귀갑문의 연원과 전개과정
Ⅲ. 백제 귀갑문 유물 검토
Ⅳ. 백제 귀갑문의 전개과정과 사적 의의
Ⅴ. 맺음말

요약

이 글은 백제 귀갑문의 연원, 수용, 변천과정 그리고 이 문양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밝힌 것이다. 귀갑문은 육각형이 연속하여 펼쳐진 기하학무늬의 일종이며, 그 연원은 고대 이집트지역에서 찾을 수 있다. 서아시아의 이란지역의 팔미라, 사산조 페르시아 등에서 식물문 이외에도 인물문과 결합한 형태로 크게 유행하였으며, 동서무역의 교역로인 비단길을 따라 중국 북조지역으로 전파되었다.
4세기대에 전연(337~370)의 안교에서 보듯 서역적인 요소(귀갑문, 대향쌍조문), 중국 한족의 전통요소(용, 봉황 등)와 북방민족적인 요소(사냥 장면, 노루, 토끼 등)이 결합되어 중국화되었으며, 귀갑문의 결절점에 장식무늬가 첨가되어 귀갑문의 전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중국의 귀갑문은 한편으로는 중국 남조로 전파되었고, 백제를 비롯하여 고구려, 신라 등으로 전래되는 등 고대 한국에 큰 영향을 끼쳤다.
백제의 귀갑문은 서산 부장리 출토 금동관과 식리에서 보듯 5세기 중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중국에서 출토 예가 없는 금동식리에 귀갑문이 채용된 것으로 보아 백제 공예품의 문양요소로 자리 잡은 것이 확실하다.
당시 백제의 대중교섭은 대부분이 남조에 의존하여 이루어진 상황을 고려하면 남조를 통하여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백제의 한성도읍기 말인 472년, 유일하게 백제에서 북위(386~534)에 사신을 보낸 기록이 보이며, 이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창 봉덕리 식리에서는 중국 북조지역 귀갑문과 유사한 문양들이 나타나고 있어 북조의 직접적인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백제의 귀갑문은 북조에서 직접 수용되었던 남조를 거쳐 들어왔던지 간에 결국 북조의 귀갑문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귀갑문은 용문, 봉황문과 더불어 최상급의 무늬로서 신성성과 권위를 드러내며, 천상세계와 이상향의 세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식무늬로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곧 당시의 세계관의 단면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양의 특성으로 인해 백제의 귀갑문은 중앙의 무령왕릉과 지방의 최고 수장층이 묻힌 고분에서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5~6세기 경의 최고급 위세품이다. 지방 출토 귀갑문 유물은 중앙에서 지방 유력자들에게 준 사여품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여품의 반포가 사라진 이후 지방에서는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귀갑문은 백제의 지방 통치체제와 관련이 깊으며,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문양이라는데 사적의의가 크다 하겠다. (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부여 규암면 외리출토 백제문양전 고찰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박대남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미륵사지 금동사리외호의 제작 기법과 문양 분석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이송란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6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미륵사지 석탑 출토 은제관식에 대한 검토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이한상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6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과 사리장엄구 연구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한정호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6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금동식리로 본 삼국시대 장송의례의 한 단면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이한상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20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장보고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유민과 신라인들의 불사활동(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 발행처신라사학회 
    • 저자양은경 
    • 발간년도 
    • 게제지신라사학보 제18호 
    자료카드

'이귀영'님께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금속공예품의 제작기법(百濟 金屬工藝品의 製作技法)
    • 발행처웅진사학회 
    • 저자이귀영 
    • 발간년도 
    • 게제지역사와 역사교육 제3.4호 
    자료카드
  • 고고·미술 > 유물 백제 관(冠) 상징체계의 변천양상
    • 발행처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저자이귀영 
    • 발간년도 
    • 게제지백제문화 제46집 
    자료카드
  • 고고·미술 > 기타 백제 금속공예의 인각기법과 어자문 고찰(백제 금속공예의 印刻技法과 魚子文 고찰)
    • 발행처국립중앙박물관 
    • 저자이귀영 
    • 발간년도 
    • 게제지미술자료 제79호 
    자료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