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고고·미술

전남지방의 영산강형 횡횔식석실의 계보와 전방후원분(全南地方の榮山江型横穴式石室の系譜と前方後圓墳 )

  • 분류 고고·미술 > 분묘
  • 권호수 第百七十九輯
  • 저자 柳澤一男 (류택일남)
  • 발행일 2001
  • 게재지 朝鮮學報
  • 발행처 朝鮮學會

목차

1. はじめに (머리말)
2. 全南地方横穴式石室の系譜と編年に對する諸見 解と問題点
(전남지방 횡혈식 석실의 계보와 편년에 대한 제 견해의 문제점)
3. 榮山江型石室群の諸類型
(영산강형 석실군의 제 유형)
4. 九州における横穴式石室の形成と變遷
(구주의 횡혈식석실의 형성과 변천)
5. 榮山江型石室群の系譜と築造過程
(영산강형 석실군의 계보와 축조과정)
6. 榮山江型石室と前方後圓墳
(영산강형 석실과 전방후원분)
7. おわりに (맺음말)

요약

5세기말~6세기 전반의 한정된 시기에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전남지방에 축조된 영산강형 석실은 그 구조적 특징에서 큐슈계의 북부큐슈계와 肥後型(비후형)의 2개의 석실형을 조형으로 하는 직접 관련형과, 그 발전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시에 전남지방에는 일본적인 전방후원분(9기)도 축조되어 있지만, 발굴조사된 6기 중 5기가 영산강형 석실을 채용하고 있어 상관관계가 인정된다. 이러한 왜계묘제가 출현하게 된 것은 백제에 의한 전남지방 영유정책의 본격적인 실행시기와 대응하지만, 그 정책실행에는 왜왕권이나 왜의 여러 지역 수장의 의도하에 이루어졌고, 특히 큐슈북부의 세력은 이전부터 지속해 온 교류를 배경으로 적극적으로 관여한 듯하다. 백제의 침투 전에 전남의 재지수장 가운데는 왜 세력과 연결된 수장층도 존재했을 것으로 여겨지며, 그러한 정치적 연결을 나타내기 위해 왜의 분형(전방후원분)이나 큐슈계의 석실이 채용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필자 요약)

링크주소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고고·미술 > 유물 백제무려왕 지석의 자적과 중국 석각문자의 비교(百濟武寧王誌石の字蹟と中國石刻文字との比較 )
    • 발행처朝鮮學會 
    • 저자佐竹保子 
    • 발간년도 
    • 게제지朝鮮學報 111 
    자료카드

'柳澤一男 (류택일남)'님께서 발행한 자료

  • 柳澤一男 (류택일남)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