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보존과학

우리나라 목간의 수종분석과 의미(우리나라 木簡의 樹種分析과 意味)

  • 분류 문헌 > 정치·외교
  • 권호수 제34집
  • 저자 김성범
  • 발행일 2010년 8월
  • 게재지 한국학논총
  • 발행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목차

1. 머리말
2. 나주 복암리 출토 목간의 현황
1) 나주 복암리 목간의 분류
2) 목간의 형태적 속성과 기술적 속성
3. 목간의 수종과 그 의미
1) 한국 목간의 수종
2) 수종분석과 의미
4. 맺는말

요약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목간을 중심으로 수종분석과 그 결과를 소개하였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목간은 대략 1,100여 점이다. 이를 시대별로 구분해 보면, 백제 목간이 148점, 신라 모간이 554점, 고려 및 일본․중국 목간이 398점에 이른다. 이중에서 수종 분석이 이루어진 목간은 360점으로 수종은 총 27종이 식별되었다.
목제 유물의 특성상, 모든 유물에 대해 수종분석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므로 본고에서 언급한 사례만으로 한국의 고대 목간이나 목제 유물에 대하여 그 특징을 규정짓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지만 다음과 같이 수종분석의 의미를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출토된 목간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한 결과 수종의 다양성으로 보아, 목간을 제작할 때에 특별히 정해 놓은 수종으로 만드는 것 보다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목재를 주로 사용하는 효율성을 발휘하였고, 소나무가 갖고 있는 재활용성 등 재질의 특징을 인지할 만큼 목간의 사용계층에서는 수종에 대한 정보가 일반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필요에 따라서 관목의 줄기도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아 당시 목간은 매우 흔하면서도 긴요하게 사용되었던 관아의 필수품이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목간은 옻나무나 주목과 같은 귀한 수종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는 제도가 운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다양한 수종 중에서 목간 제작에 가장 선호되는 수종은 소나무와 참나무 등이었다. 이들 수종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표 수종으로서 소나무로 제작한 목간의 점유율은 75%에 육박한다.
또한 목간에 대한 수종분석을 통해 당대 우리나라의 식생에 대한 정보를 아울러 간취할 수 있었다고 본다. (필자 초록)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에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

'김성범'님께서 발행한 자료

  • 김성범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