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강은 사비의 별칭으로 원위치는 사비하와 동일지역이었을 것이다. 백촌강과 백마강은 백강에서 파생한 보다 후대의 이칭으로 부여를 기점으로 그 이하의 유역, 전체를 백강이라 부르거나 고다진을 비롯하여 하류로 내려가며 장포, 강경진 등을 각각 백강이라 호칭하기도 하여 어느 한 지점에만 백강이란 지명을 고정시킬 수 없다.
泗沘와 泗沘의 정통 문제에 있어서 그 뿌리가 소부리에 박혀 있으면서 약간 변형된 泗沘가 泗沘로 둔갑한 것은 고문헌의 移記 내지는 판각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흔히 발생하는 訛誤때문으로 판단되는데 그 직접적인 이유는 자형상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명된다. 이러한 와오의 발생시기는 적어도 삼국사기의 간행 혹은 저작연대보다 이른 때로부터라고 추정된다.
백강의 ‘白’에 대하 백제어의 석음에서 백강을 사비가람의 한어화로 보고 이를 사비하의 이칭으로 보았다. ‘白’이 ‘伯’과 통용으로 차자된 것이라면 그 의미가 ‘長’과 ‘大’일 것인고로 백강의 별호인 기벌포, 장암에 결부시켜 ~긴벌개로 석독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백강-금강으로 등식화할 때, 금강-깁가람-기벌가람-깁가람으로 되며 熊-錦-白과 같은 등식에 근거를 잡고 백강이 ‘大江’이란 뜻으로 한어화한 것으로 추정 된다.
백강 사비하 기벌포의 방사원점에 대해 두 가설을 세울 수 있다. 하나는 부여에서 동남으로 12km 떨어진 초촌면의 본거지인 초촌이다. 이 새울을 기점으로 하여 백마강으로 이동하여 새로운 취락이 형성되면서 자촌으로 발생한 지명이 곧 소부리인 것이고 이것에서 사비>백강>백촌강>백마강과 같은 諸異稱이 파생발전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백강의 어원을 사비하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공주의 웅진을 그 방사원점으로 삼는 것이다. 熊은 白으로 등식화할 수 있는데 고려조에 웅진>금강으로 변화한 것을 보면 熊-錦-伯과 같은 등식을 통하여 그 의미를 ‘長, 大’로 풀 수 있는 것이다. 또 이것의 의미에 따라 두 갈래 파생을 생각할 수 있는데 ‘錦’과 ‘白’을 석음차로 보고 ‘錦’의 석음 ‘깁-’을 근거로 ‘長’에 결부시켜 장강이란 의미로 풀 때 웅천-금강-백강은 기벌포 장암포 등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熊-錦-伯을 ‘大’에 결부시켜 그 방사원점을 공주 웅진에 두어 여기서 금강, 백강, 백촌강 등이 파생하고 나아가서 곳곳에 백강이 파생분포한 것이라 생각된다. (필자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