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II. 강원지역 철기시대 유적 발굴 성과III. 강원지역 철기시대 주거지 입지와 특징IV. 문헌을 통해 본 강원 지역의 집단V. 영서지역의 적석묘의 성격VI. 맺음말
요약
강원지역은 태백산맥에 의하여 양분되며 양 지역간의 철기문화의 양상에 있어서 일정한 차이점이 발견되고 있다. 특히, 북한강 지역과 영동지역을 비교하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즉, 유적의 입지는 영동이 사구 지대를 중심으로 영서지역은 하안 충적평야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주거지의 입지는 주변에서 획득 가능한 자원의 양에 따라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주거지의 평면 형태는 방형 계통이라는 공통점이 확인되고 노지는 차이점이 확인된다. 이러한 방형계통 주거지는 한강 본류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나 한반도 중서부 지방의 방형계통 주거지와는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점이 보이고 있다.
토기는 강원 양 지역간의 일부 토기에서 형식상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그러나 중서부지역과는 타날문토기 구성상에 한강유역 중도 유형 문화와 차이가 보인다. 그리고 다른 정치체와의 교류 흔적으로 영동에서는 낙랑계 토기, 영남지역의 와질토기가 영서지역에서는 둔내의 가리비조개 등이 확인된다.
이러한 고고학적인 양상을 문헌에 나타나는 말갈, 예, 맥과 비교해보면 실제 영동은 예, 영서는 맥으로 추정되며, 말갈은 영동․영서의 예․맥 등이 혼동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영서의 ‘말갈’과 ‘맥’은 식량의 안정적인 획득을 위하여 백제 지역에 대하여 끊임없이 침략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영동 지역은 고구려와 신라에 복속되었고, 영서 지역은 백제, 고구려, 신라에 복속된 것으로 보인다.
철기시대 말기(3세기 경)에는 영서 지역에서 적석묘라는 독특한 묘제를 남기고 있으나, 영동 지역은 아직 뚜렷한 묘제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영동 지역은 자연적인 환경으로 영서 지역은 초기 백제의 형성과정 중에 서울지역의 무기단식 적석총 조성방법을 채용 변화시켜 주위에 무진장 求得가능한 천석을 이용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