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머리말
II. 소국 단계의 '대가'
III. 삼국 정립기의 '부병'과 지방세력
IV. 6~7세기 군사참여층의 확대
V. 통일기 군역제의 성립과 운영
VI. 맺음말
요약
고대시대 군사참여층은 점진적으로 확대되었다. 소국 단계에는 ‘君王-加-豪民’으로 이어지는 소국 내 지배층 그룹인 大家層만이 전쟁에 참여하였다. 이 단계에 전쟁에 참여한다는 것은 일종의 특권이었으며 이런 의미에서 이들은 ‘특권적 전사집단’이라 불러 좋을 것이다. 소국 간 통합이 진전되어 ‘중앙’과 ‘지방’으로 이루어지는 영역 국가가 성립하고, 더 나아가 삼국이 정립되는 단계에 이르면, 군사참여층은 일정한 확대를 가져오게 된다. 그렇지만 결정적으로 중요한 전쟁은 여전히 중앙이 ‘部兵’이 전쟁을 수행하였다. 이는 중앙세력이 지방 세력에 대해 확고하게 신뢰하지 못하고 있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지방 세력은 특정 국가에 대한 소속의식이 아직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6~7세기에 이르면 삼국 간에 영토와 인민을 확보하려는 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어 감에 따라, 지방 세력은 점차 국가의 군사력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자연지방민들도 명실상부한 군사참여층에 포함되어 갔던 것이다. 특히 신라는 7세기 후반기에 전국의 민을 군사동원하는 이른바 ‘大停體制’를 정비하여 이를 실제의 행군조직에 활용함으로써 최후의 승리자가 될 수 있었다. 통일 후 신라는 이제 전국의 민을 체계적으로 징발하여 안정적인 군사력을 확보하기 위해 군역제를 실시하였다. 이른바 ‘法幢軍團’이 그것이었다. 設種은 전투부대원인 ‘余子’와 노역부대원인 ‘法私’로 구분하여 징발되었고, 임기는 3년이었다. 이러한 병역제의 실시로 군사참여층은 천민을 제외한 전국의 민에 확대되는 제도적 전기가 마련된 셈이 되었다. (필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