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지금까지 필자가 많은 관심을 갖고 시도한 한성시대 백제에 대한 성격고찰의 일환으로 최근 고고학적 서과에서 얻어진 새로운 자료와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통해 당대 전반적 문화상을 복원하고자 한 것이다.
한성시대 백제의 정치, 외교, 문화의 중심지, 즉 당대의 도읍 비정은 가장 빈번히 거론되는 주제 중의 하나이다. 그간의 고고학적 성과를 정리, 분석한 결과에 비추었을 때 하북위례성은 중랑천일대, 하남위례성은 몽촌토성, 한산은 이성산성, 한성은 춘궁리일대로 비정된다. 또한 삼국사기 온조왕대 강역획정 기사와 한성시대 백제고분의 분포도가 부합한다.
백제 문화는 다음과 같은 고고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묘제는 적석총과 토광묘 외에도 백제 초기 축조된 분묘양식인 석실분, 석곽묘가 있으며 이 시기 축조된 석실분은 대개 낮은 구릉이나 평지에 입지하며 대개고구려계통 구조를 띤다.
백제토기, 특히 백제초기에 해당하는 토기에 관한 편년연구는 아직 그 성과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나 연대추정의 근거가 되는 중국계 자기가 있다. 이를 통해 고분의 연대가 추정가능하지만 하루 빨리 백제토기의 편년안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원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