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기타

영산강유역의 마한(榮山江流域의 馬韓)

  • 분류 기타 >
  • 권호수 제2집
  • 저자 김학휘
  • 발행일 1990년
  • 게재지 향토사연구
  • 발행처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목차

Ⅰ. 머리말
Ⅱ. 地理的 背景
Ⅲ. 考古學的 背景
Ⅳ. 文獻上의 馬韓
Ⅴ. 馬韓小國의 位置比定
Ⅵ. 馬韓의 生活相
Ⅶ. 맺음말
Ⅷ. 도면

요약

본고는 영산강 유역의 마한에 대하여 정치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우선 정치적으로 마한의 변천은 최초 한강유역에서 시작하여 그 연맹체가 익산지방으로 이동하고 3세기 후부터 이곳 영산강 유역으로 최종적 중심지가 되어 백제에 흡수 또는 백제화를 초래하게 됨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마한 이동설을 보다 확실한 논거를 바탕으로 제시해야하나 본고는 서설로서 시론적 깊이에 불과하다. 그러나 마한의 정치집단이 해상을 바탕으로 하고 중국측 문헌과 비교해 볼 때, 백제에 의해 병합되기 시작한 5세기 이전까지는 적어도 이 지역에 독특한 정치세력집단이 포진해 있었던 것만큼은 문헌이나 고고학적 유적유물을 통해 충분히 검증해낼 수 있었다.
이러한 마한의 최종적 정치집단의 소멸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최후에 결말이 어떤식으로 해체되었는지 여부는 여러 가지 사료의 검증이 있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마한에 대한 사료가 부족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고고학적 자료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나 초기 마한의 출자집단은 지석묘 조성세력으로서 최초로 마한이란 명칭이 보이기 시작한 B.C 2세기와 지석묘 조성시기와는 어느 정도 일치하며 기원후 1C부터 영산강 유역의 마한연맹체의 소멸시기와는 토광묘나 옹관묘 조성세력의 존립시기와 석실분들이 반드시 백제의 특허묘제로서 만은 아닌 것 같다. 옹관묘에서 석실분으로 이행은 급격히 변화된 것이 아니고 담로제 실시에 따른 이 지역의 토착족장 세력의 부분적인 묘제 채택도 부장유물의 성격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앞으로 영산강 유역의 마한의 실체가 밝혀진다면 한일 고대문화 관계도 자연스럽게 풀린 것으로 기대하며 글을 마무리 한다. (필자 맺음말)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한국향토사연구전국협의회 에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

'김학휘'님께서 발행한 자료

  • 김학휘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