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자료 DIGITAL ARCHIVE

검색

기타

백제금동대향로에 나타난 문양의 기호학적 연구

  • 분류 기타 >
  • 권호수 제8권 제4호
  • 저자 이유진, 김태균
  • 발행일 2008년 10월
  • 게재지 디지털디자인학연구
  • 발행처 한국디자인디지털협의회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와) 범위 및 방법
2. 이미지기호학적 고찰
3. 백제금동대향로
3-1. 백제금동대향로의 특징
3-2. 백제금동대향로 문양의 상징적 의미
4. 기호학적 관점에서 본 백제금동대향로
4-1. 퍼스의 해석소 매트릭스
4-2. 바르트의 의미작용
4-3. 의미작용의 범주화
5. 전통문양의 현대화
6. 결론

요약

전통이란 어떤 규범이나 행위, 가치를 가지고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틀이며, 미래에로의 새로움을 예시하는 것이다. 우리의 역사는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백제는 가장 뛰어난 유물중 하나인 백제금동대향로를 창조하였다. 이는 당시의 사회, 문화, 종교는 물론 그 주변의 문화까지도 잘 조화시킨 뛰어난 상징성을 가진 조형물로 세련된 미적 요소와 신비주의적 고대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우리 선인들의 우수한 조형 감각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 유물이다. 본 연구는 백제금동대향로 문양의 상징적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그 문양의 양식적 특징과 상징적 의미가 향로에 어떻게 표현되었는가를 알아보고, 그것이 현대식 도형의 의미해석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새롭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바르트의 의미작용 이론에 따른 기호적 관점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백제금동대향로에서 도교의 신선사상 및 음양의 표현, 불교사상의 표현, 다양한 주변문화 수용, 문화의 전파, 문화 예술적 우수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우리 고대문화의 결정체인 백제금동대향로의 가치를 재인식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현대적 해석방법으로 새롭게 재현된 백제금동대향로의 캐릭터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통적인 문양을 현대화함에 이어 전통적인 것을 참고하되 예술적인 감각은 전통에 머무르지 않고 현대적인 것을 연결시켜서 표현의 다양화를 추구함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시각적 조형예술에 있어서의 전통성 표현은 그 지역이나 국가에서 이해하고 그 기본 조건 위에 현대의 사회적 상황이 요구하는 시대적 감각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표현의 원리를 두어야 한다. 이의 접근을 위하여 기호학은 유용한 툴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면 전통을 새롭게 인식하고 지속적으로 계승, 발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필자 요약)

동일한 곳에서 발행한 자료

  • 한국디자인디지털협의회 에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

'이유진, 김태균'님께서 발행한 자료

  • 이유진, 김태균 님께서 추가 발행한 자료가 없습니다.